04/05
컴퓨터 정의
과거 : 계산하는 기계
현대 : 명령어들의 리스트에 따라 데이터를 처리하는 기계
프로그래밍 언어
- 기계어 : 0과 1로 이루어진 언어 (이진수)
- 어셈블리어 : 기계어 보다는 높은 수준의 저급 언어
CPU와 1대1 대응 가능한 언어 기호
높은 최적화에 단순 작업 유리
- 고급 언어 : 사람이 이해하기 쉽게 작성하는 언어(C, C++, JAVA)
알고리즘
정의 : 문제를 해결하는 절차
어떤 단계로 작업을 처리할 것인지 구상
순서도 설계에 이용
코딩
알고리즘을 프로그래밍 언어로 기술하는 행위로 텍스트 에디터나 통합 개발 환경을 이용해 작성한다.
컴파일
소스 프로그램을 목적 프로그램으로 변환하는 작업(컴파일러가 수행)
컴파일 오류 : 문법 오류
링크
컴파일 된 목적 프로그램을 라이브러리와 연결하여 실행 프로그램을 작성하는 것
라이브러리 : 프로그래머들이 많이 사용하는 기능을 미리 작성해 놓은 것
디버깅
오류를 수정하는 행위
유지 보수
디버깅 후 버그가 남을 수 있고 개발 이후 사용자의 요구가 추가되기에 하는 것
코딩 내용
sing namespace std;// std 제외하기
std::cin >> 입력 받기 std::cout << " 출력 할 글자 \n"; 출력 std::cout << a << std::endl; 변수 출력
cout << sizeof(변수) << endl; 변수의 크기를 비트 단위로 출력
unsigned =음수 제거
std::cin >> 입력 받기
//주석 : 실행되지 않고 설명 만을 위해 사용되는 문법
/* 여러 줄 주석 */
iostream = input output stream
#include "파일명.h" <- c라이브러리 파일 포함, 우리가 만든 소스 파일을 포함 시킬 때
#include <파일명> <- c++라이브러리 파일 포함
#include 를 사용하는 문법은 소스 파일의 가장 상단에 위치한다. (서순 때문에)
c++ 프로그래밍 언어가 가지는 표현 적 특성
- 대/소문자를 구분하자
- 띄어쓰기를 통해 각 요소를 구분한다.
- 실행문의 끝을 ;(세미콜론)으로 마무리한다.
int main 이라고 하는 함수의 () 입력 값
변수 : 데이터를 저장하는 메모리 공간에 붙여진 이름
int num = 3;
이름(num) 2. 값(3) 3. 메모리 주소(?) 4. 크기(int(4byte))
데이터 타입 정리
정수형 변수를 저장하는 데이터 타입
타입 | 크기 | 범위 | 계산 |
int | 4Byte | -2,147,483,648 ~2,147,483,647 | 2의 31승=4,294,967,296을 음수 양수로 나눔 |
short | 2Byte | -32,768 to 32,767 | 2의 15승=65536을 음수 양수로 나눔 |
long | 4Byte | -2,147,483,648 ~2,147,483,647 | 2의 31승=4,294,967,296을 음수 양수로 나눔 |
longlong | 8Byte | –9,223,372,036,854,775,808 ~ 9,223,372,036,854,775,807 |
2의 63승=9.22337203685e+18을 음수 양수로 나눔 |
- int는 4바이트 고정 long은 환경에 따라 커짐
실수형 변수를 저장하는 데이터 타입
타입 | 크기 | 범위 | 표현 |
float | 4byte | 3.4E +/-38 | (소수점 7 자리 표현) |
double | 8byte | 1.7E +/-308 | (소수점 15 자리 표현) |
문자형 변수를 저장하는 데이터 타입
타입 | 크기 | 범위 | 계산 |
char | 1byte | -128~127 | 2의 7승=225를 음수 양수로 나눔 |
문자열을 저장하는 데이터 타입
타입 | 크기 | 범위 | 계산 |
string | 문자수에 따라 다름 | 문자수에 따라 다름 | 문자수에 따라 다름 |
unsigned =음수 제거
타입 | 크기 | 범위 |
unsigned int | 4byte | 0~4,294,967,296 |
unsigned short | 2byte | 0~65536 |
unsigned long | 4byte | 0~4,294,967,296 |
unsigned longlong | 8byte | 0~9.22337203685e+18 |
- 데이터 타입 앞에 unsigned가 붙으면 범위에 음수가 사라진다.
'코딩 > C++' 카테고리의 다른 글
[C++] 배열 (0) | 2022.04.13 |
---|---|
[C++] 제어문 (0) | 2022.04.12 |
[C++] 난수 생성 (0) | 2022.04.11 |
[C++]연산자 (0) | 2022.04.07 |
[C++]변수명 이름 규칙 (0) | 2022.04.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