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버의 종류
전용 서버
- 서버의 모든 자원이 네트워크로 소모
리슨 서버
- 플레이어 중 하나가 호스트를 맡음
- 서버 유지비가 적음
- 물리적으로 가까우면 반응속도가 빠를수 있
- 호스트 컴퓨터 성능에 따라 네트워크 품질이 달라짐
- 호스트가 두중 나가면 새로운 호스트를 정해야함
P2P
- 참여한 플레이어 모두가 호스트 역활을 겸함
- 호스트가 게임 도중 종료해도 교체하는 과정이 불필요함
- 개발자 입장에서 프로그램 처리 흐름을 직관적으로 처리가능
- 참가자가 증가할수록 반응속도가 눈에 띄게 느려진다.(통상 16명 상한선을 둠)
- 서로 동기화하기 때문에 특정 수치를 위조하여 전파할 가능성이 높다.(무한HP, 무한 총알)
매치메이킹 서버
- 리슨서버나 P2P방식을 사용하더라도 참가할 클라이언트들이 서로를 찾아 방 하나에 모이는 과정에서 사용할 서버
포톤 룸
- 게임을 플레이하기 위해 클라이언트가 모인 서버
- 포톤 룸은 유니티의 씬과는 다르게 다른 계층에서 동작하기에 서로 다른 씬을 로드하는 것도 가능하다.
'코딩 > 유니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유니티] Mixamo 1 (0) | 2022.09.28 |
---|---|
[Photon] 멀티 플레이어 (0) | 2022.09.13 |
[유니티] 오디오 재생 (0) | 2022.08.21 |
유니티 유용한 코드 (0) | 2022.08.10 |
[유니티] CSV 데이터 저장 (0) | 2022.08.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