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버의 종류 전용 서버 - 서버의 모든 자원이 네트워크로 소모 리슨 서버 - 플레이어 중 하나가 호스트를 맡음 - 서버 유지비가 적음 - 물리적으로 가까우면 반응속도가 빠를수 있 - 호스트 컴퓨터 성능에 따라 네트워크 품질이 달라짐 - 호스트가 두중 나가면 새로운 호스트를 정해야함 P2P - 참여한 플레이어 모두가 호스트 역활을 겸함 - 호스트가 게임 도중 종료해도 교체하는 과정이 불필요함 - 개발자 입장에서 프로그램 처리 흐름을 직관적으로 처리가능 - 참가자가 증가할수록 반응속도가 눈에 띄게 느려진다.(통상 16명 상한선을 둠) - 서로 동기화하기 때문에 특정 수치를 위조하여 전파할 가능성이 높다.(무한HP, 무한 총알) 매치메이킹 서버 - 리슨서버나 P2P방식을 사용하더라도 참가할 클라이언트들이 서로..